부하별 누설전류 특성비교 정리
주제: 조명 · 모터 · 히터 · 인버터/SMPS 등 부하군별 누설전류 특성, 원인, 측정·대응 방안요약본 자료는 대표적 4개 부하(히터·모터·조명·인버터/SMPS)에 대해 누설전류의 크기·파형 특성, 주요 원인, 측정 시 주의사항, 실무 대응 및 설계대책을 상세히 비교 정리한 문서입니다. 에드센서 연계 모니터링 기준과 현장 적용 예시(측정표 포함)도 제시합니다.부하별 요약표부하파형/크기(일반적)주요 원인현장 특징·주의점히터(저항성)정현파성, 매우 작음(μA~수백μA)절연훼손, 표면오염, 습기온도상승에 따른 절연저항 감소 관찰 필요모터(유도/동기)중간(μA~mA), 기동시 일시적 상승권선열화, 축전류, 베어링접지운전·무부하·기동 시 모두 측정 필요조명(LED/형광)중간~높음(드라이버 영향), 고주파·펄스..
2025. 11. 4.
차단기 용량 대비 누설전류 기준 및 조치 가이드
1. 누설전류 개념 및 법적 근거누설전류란 전기회로에서 정상적으로 흐르는 전류 외에 절연 불량, 접지 문제, 장치 노후화,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해 흐르는 전류를 의미합니다. 산업 설비에서는 누설전류가 과도하게 발생하면 누전차단기 트립, 설비 손상, 화재, 감전 등의 위험이 발생하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법적 근거로는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182조가 있으며,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다음 기준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누설전류가 1mA 이하최대 공급 전류의 1/2000 이하소형 회로에서는 1mA 기준을 적용하고, 대형 회로에서는 정격전류의 1/2000 기준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판단합니다. 또한 「전기안전관리 규칙」에서는 누전차단기 설치, 민감도 설정, 설비 운전 중 허..
2025. 11. 3.
절연저항 점검 및 측정방법
1. 절연저항의 정의절연저항은 전기설비의 도체와 대지(접지), 또는 상호 간의 절연 상태를 수치로 나타낸 값으로, 전기적 절연 성능의 척도입니다. 절연저항이 낮으면 도체 사이에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누전, 감전, 화재의 위험이 커집니다. 전기설비의 절연상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 습도, 진동, 오염 등 환경적 요인으로 열화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측정단위는 MΩ(메가옴)이며, 절연저항계(메거, Megger)를 사용합니다. 절연저항과 누설전류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절연저항이 낮을수록 누설전류가 증가합니다.Ileak = V / Riso2. 측정 전 준비사항 점검구분점검 내용전원상태측정 전 반드시 전원 차단 및 잔류전압 완전 제거환경조건습기, 먼지, 오염 제거 후 절연체 표면 건..
2025.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