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 콘덴서 고장 시 나타나는 증상과 대처 방법 공장이나 빌딩의 전력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진상콘덴서는 단순한 전기요금 절감 장치가 아니라, 설비 전체의 안정성을 지키는 중요한 전력 품질 장비입니다. 하지만 장시간 운전하다 보면 내부 절연유의 열화나 온도 상승, 고조파 영향 등으로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래된 콘덴서는 외관상 멀쩡해 보여도 내부 용량이 줄거나 절연이 약해진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상태를 방치하면 역률 저하, 과전류, 화재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현장에서 자주 나타나는 콘덴서 고장 증상과 실제 대처 방법을 정리했습니다.① 외관 이상 – 부풀음, 누유, 변색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고장 신호는 외형의 변화입니다. 콘덴서 상단이 볼록하게 부풀거나 측면이 뒤틀린다면 내부 가스가 차오르고 있다는 뜻입니다... 2025. 11. 7.
⚡ 역률이 낮으면 전기요금이 올라가는 이유 전기요금을 절약하려면 단순히 전등을 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공장이나 빌딩의 전기요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바로 “역률(Power Factor)”입니다. 많은 분들이 역률을 “좋으면 요금이 내려간다”고만 알고 있지만, 정확히 어떤 원리로 요금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지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역률이 낮을 때 전기요금이 올라가는 이유를 쉽고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① 역률이란 무엇인가?역률은 전기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전기에는 두 가지 성분이 있습니다. 하나는 실제로 일을 하는 유효전력(kW), 다른 하나는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왔다 갔다 하는 무효전력(kvar)입니다. 이 둘을 합친 값이 피상.. 2025. 11. 7.
⚡ 진상콘덴서란 무엇인가? 초보자도 이해하는 역률 개선 원리 전기를 절약하는 방법이라고 하면 보통 “전등 끄기”나 “플러그를 뽑기” 같은 생활 습관을 떠올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공장이나 빌딩처럼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곳에서는 이보다 더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진상콘덴서(Power Factor Correction Capacitor)를 활용한 역률 개선입니다. 이 글에서는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진상콘덴서의 원리와 효과, 관리 시 유의사항을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1. 역률(Power Factor)이란 무엇일까?먼저 역률의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전기에는 전압과 전류가 있고, 이 둘이 같은 타이밍에 흐를 때 전기는 효율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모터나 안정기 같은 장비는 전류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성질이 있어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2025. 11. 6.
Atlas Copco GA75 와 GA75 VSD 비교분석 Atlas Copco사 콤프레서 GA75(고정속도)와 GA75 VSD(가변속도)의 기술적 차이, 운영·에너지 영향, 선택 가이드를 실무 관점에서 비교 정리분석한 자료이므로 공장별 특성에 맞게 활용가능합니다.- VSD :Variable Speed Drive요약 비교주요항목GA75 (고정속도)GA75 VSD (가변속도)구동 방식고정속도(ON/OFF 또는 로드/언로드)VSD(모터 회전수로 공기량 제어)에너지 소비부하 변동이 크면 비효율적부하 변동이 크면 대폭 절전 가능 (운전 패턴에 따라 유의미한 절감)제어 성능단순 제어(기본 Elektronikon)정밀 압력·유량 제어 가능(고급 Elektronikon + VSD 제어)설치·유지보수구성 단순·내구성 우수·유지보수 용이인버터·전자부품 포함 → 초기비용·유지관리.. 2025. 11. 5.
전원 차단 불가 시 절연저항 측정 및 대처방법 개요절연저항 측정은 통상적으로 전원 차단(정전) 상태에서 메거(절연저항계)를 사용해 수행해야 하나, 공정상 정전이 불가능한 설비(무정전 제조라인, 데이터센터, 병원 장비 등)에서는 직접 측정이 위험하거나 불가능하다. 이 문서는 전원 투입 상태에서 안전하게 절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간접 측정법(누설전류 측정, 접지전류 측정, 전력분석기 활용, 절연감시장치)과, 정전 시 직접측정이 필요할 때의 임시조치 및 법적·안전 준수사항을 정리하였다.1. 위험요인 및 원칙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메거(절연저항계)의 DC 고전압을 인가하면 계기 및 제어부 손상, 감전,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전원 투입 상태에서 직접 절연저항 측정은 금지하며, 대신 아래의 간접진단법을 사용한다. 다만 정밀진단이나.. 2025. 11. 5.
⚡ 역률 개선과 최대수요전력 변화 비교 공장의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해서는 두 가지 핵심 지표를 이해해야 합니다. 바로 역률(Power Factor)과 최대수요전력(Maximum Demand)입니다. 이 두 값은 전력 사용 효율과 요금 체계의 기본을 이루는 요소이지만, 실제로는 그 관계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역률이 개선될 때 최대수요전력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왜 진상콘덴서 설치가 전기요금 절감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역률과 최대수요전력의 기본 개념역률은 ‘전기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때문에 실제 일을 하는 유효전력(P)과, 일을 하지 않는 무효전력(Q)이 함께 존재합니다. 이 둘을 합친 것이 피상전력(S)이며, 역률은 P ÷ S로 .. 2025.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