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8 누설전류 허용기준 초과시 및 개선 가이드 1. 누설전류 허용기준이란?누설전류 허용기준은 전기설비나 기기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누설전류의 최대치입니다. 한국산업표준(KS C IEC 60950, 60335 등)에 따르면, 가정용 전기기기의 누설전류는 일반적으로 **0.75mA 이하**, 휴대용 기기는 **0.25mA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산업용 설비나 접지형 금속 외함 기기의 경우 **3.5mA 이하**가 일반적인 기준입니다.누설전류가 이 범위를 초과하면 절연 열화, 습기 침투, 접지 이상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는 신호로, 즉시 점검이 필요합니다.2. 허용기준 초과 시 나타나는 주요 증상기기 외함을 만졌을 때 미세한 전류가 감지된다.누전차단기(ELB)가 불규칙하게 작동하거나 자주 트립된다.전기기기의 금속 부분에 녹, 습기, 오염물질이 .. 2025. 10. 30. 진상콘덴서 점검항목 및 점검방법 정리 이 문서는 진상콘덴서의 안전운전과 예방보전을 위해 점검주기, 점검항목 및 구체적인 측정방법, 이상 시 조치까지 포함하여 상세히 정리한 기술자료입니다.1. 목적진상콘덴서는 전력계통의 역률을 개선하고 무효전력을 보상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내부 유전체의 열화, 접속부의 느슨함, 외부의 습기·분진·과전압 등 다양한 원인으로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점검목적은 이러한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인적·물적 피해를 예방하고 설비 수명을 연장하는 데 있습니다. 또한 점검 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최적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2. 점검주기구분점검주기비고육안점검월 1회 이상외관, 단자, 팬, 분진·누유 확인전기적 점검반기 1회절연저항, 누설전류, 운전전류 측정정밀점검연 1회LC.. 2025. 10. 28. 콤프레서에 진상콘덴서 설치 필요성 및 효과 1. 목적컴프레서는 산업현장에서 공압 장비, 냉동설비, 생산라인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주요 동력 장비로, 대부분 유도전동기(Induction Motor)를 구동원으로 사용합니다. 이러한 유도성 부하는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지연되어 흐르기 때문에 역률이 낮아지고, 그 결과 무효전력이 증가하여 계통의 효율이 떨어집니다.이에 따라 진상콘덴서(Power Factor Correction Capacitor)를 설치하여 전력계통의 무효전력을 보상하고 역률을 개선함으로써, 송전효율 향상과 전력요금 절감, 그리고 설비의 안정적 운전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입니다.2. 설치 필요성진상콘덴서는 전류의 위상을 전압과 일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유도성 부하로 인해 지연된 전류를 보상하기 위해 콘덴서가 선행전류를 공급하면,.. 2025. 10. 27. 진상콘덴서 고장 시 임시조치 방법 1. 개요진상콘덴서(Power Factor Correction Capacitor)는 전력계통의 역률을 개선하고 무효전력을 보상하여 효율적인 전력 사용을 돕는 핵심 설비입니다. 그러나 운전 중 고장 또는 절연 열화가 발생할 경우, 콘덴서 내부에서 누설전류가 증가하거나 폭발, 절연파괴 등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상콘덴서 이상이 의심될 때는 즉각적인 임시조치를 수행해야 하며, 이후 원인 분석과 교체작업이 뒤따라야 합니다. 2. 고장 발생 징후 및 사전 인지진상콘덴서의 이상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현상으로 먼저 나타납니다.① 콘덴서 외함의 팽창, 누유, 변색 등 물리적 이상② 운전 중 진동음 또는 이상한 소음(‘찌직’, ‘윙’ 등) 발생③ 누설전류 또는 무효전력값 급증④ 전력분전반 내 차단기의 .. 2025. 10. 23. 이전 1 2 3 4 5 다음